backend 4

[Spring-Boot] 마니또 커뮤니티 서비스 회고 (3) - SpringBoot ec2로 배포하기

서비스 배포그동안 프론트엔드 개발만 해왔기 때문에 주로 vercel이나 netlify를 이용한 배포를 위주로 해왔다. 처음으로 spring-boot 프로젝트를 AWS로 배포하게 되면서 검색을 통해 여러가지 페이지를 참고했다. 먼저 AWS에 로그인하고, 인스턴스 생성을 했다. 나는 아직 프리티어 무료 사용이 가능해서 가장 큰 용량으로 모두 설정해서 생성했다.AWS 1편: EC2 생성 후 Spring Boot 띄우기( 이 분이 보안그룹까지 아주 자세하게 설명해주신다. ) 인스턴스 생성 후에는 이제 인스턴스 연결을 해야하는데, 나는 SSH 연결을 사용했다.  AWS 콘솔에서 인스턴스 연결 버튼을 누르면 이렇게 자세하게 나오는데, 저기 예: ssh ~ 라고 쓰여있는 부분 클립보드 복사해서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backend 2024.09.02

[Spring-Boot] 마니또 커뮤니티 서비스 회고 (2) - Spring-Boot로 서비스 개발

이전 게시물대로, 프로젝트 개발을 시작했고 현재는 완료했다. 기술 스택백엔드 개발은 수업에서 배운대로 스프링부트로 Java를 사용해 구현했다.프론트엔드는 스프링부트에서 JSP와 Thymeleaf 중 고민하다 Thymeleaf를 이용해 구현했다. (파일 형식이 html이라는 점이 JSP보다 조금 더 마음에 들었다) 스타일 구현은 CSS를 이용했다.그리고 데이터베이스는 MySQL을 이용해 SQL문으로 구현했다. 실제 서비스 구현서비스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우선 주어진 과제 기간인 일주일 동안에 전체 서비스 구현은 어렵다고 생각했다.그래서 빠른(에자일한…) 개발을 위해 과제 기간동안에는 네비게이션 탭의 3가지 페이지 중, 커뮤니티 탭 기능을 구현했다. 하지만 로그인, 회원가입 기능이 없었기 때문에 사용자는 누구..

backend 2024.08.26

[Spring-Boot] 마니또 커뮤니티 서비스 회고 (1) - 개발 시작 전

프로젝트 시작참여 중인 부트캠프에서 한달간 ‘마니또 이벤트’를 시작했다. 그리고 ‘백엔드 기초’ 수업에서 처음으로 스프링과 MVC 패턴에 대해 배우면서, 직접 tomcat을 설치하고 백엔드 기능을 처음으로 구현해보았다. 수업 마무리로 개인 미니 프로젝트 과제가 있었는데, 주제는 자유, 기간은 일주일이었다. 나는 이 프로젝트를 현재 진행중인 ‘마니토 이벤트’에서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제공하면 실 사용자를 얻기 더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또한 멘토링에서 멘토님이 이야기해주신, 서비스 타겟층을 뾰족하게 잡아 개발해본 경험이 있다! 라는 말에서 영감을 얻어 나도 그러한 서비스를 개발해보고 싶다고 생각했다.그래서 기획한 서비스가 ‘유레카 마니또 커뮤니티 서비스’인 ‘MANITO’이다. 기획 배경기존에는 슬랙의..

backend 2024.08.16

[Spring] Spring Boot와 MVC 패턴

이번에 처음으로 백엔드 공부를 하고, 미니 프로젝트를 개발해보면서 알게된 MVC패턴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MVC 패턴이란?MVC패턴은 말 그대로 디자인 패턴 중 한 종류이다.소프트웨어의 비즈니스 로직과 화면을 구분하는데 중점을 둔 디자인 패턴이며, Model, View, Controller 총 3개로 구성되어있다.모델: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관리한다. (Service, DTO, DAO, Repostitory 등등)뷰: 레이아웃과 화면을 처리한다.컨트롤러: 모델과 뷰로 명령을 전달한다. (전통적인 스프링에서는 Servlet이 컨트롤러의 역할을 한다.)출처 ⬇️ MVC - MDN Web Docs 용어 사전: 웹 용어 정의 | MDNMVC (모델-뷰-컨트롤러) 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및 논리 제..

backend 2024.08.12